- 촌부(村夫)
- 에움길 걷다
- 고요한 산사의 풍경소리
- 여행카페
- 김치앤치즈의 Life, Travel & English
- 인천서구청 블로그 노을노리
- 계양구청 공식 블로그
- 하고싶으면 하는거야!
- 인천광역시 서구청
- 인천광역시 계양구청
- 인천광역시 남동구청
- 산림청
- 창조경제의 시작, 남동구
- 산림청 대표 블로그
- Kien's story
- 제이의 이야기
- LOCK&LOCK 커뮤니티사이트
- 이금기소스 요리전문 블로그
- 내다보는 (창)
- 오스트리아,그라츠! 지금은 린츠
- 몽실언니의 영국일기
- 옷에 달라붙는 먼지처럼 세월에 달라붙는 추억들
- hCard 1.0.1 XMDP profile
- 칼퇴의품격
- Love Letter
- GENTLE DOG
목록야생버섯 (22)
Pumpkin Time
노루궁뎅이버섯 (식용버섯) - 형태적 특징 : 노루궁뎅이의 지름은 5~20cm 정도로 반구형이며, 주로 나무줄기에 매달려 있다. 윗면에는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전면에는 길이 1~5cm의 무수한 침이 나 있어 고슴도치와 비슷해 보인다. 처음에는 백색이나 성장하면서 황색 또는 연한 황색으로 된다. 조직은 백색이고, 스펀지상이며, 자실층은 침 표면에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며, 포자모양은 유구형이다. - 발생시기 및 양상 :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의 줄기에 홀로 발생하며, 부생생활을 한다. - 이용 가능성 여부 : 식용, 약용, 항암 버섯으로 이용하며, 농가에서 재배도 한다. - 참고 : 버섯 전체가 백색이고, 고슴도치처럼 생겼다. - 2014년8월 도계 육백산에서 촬영 (Nikon D80)
달걀버섯 (식용버섯) 화려한 붉은 색을 지닌 버섯은 독버섯으로 보게되지만, 식용버섯중 그 색이 예쁜 달걀버섯이다. 처음엔 달걀모양의 하얀색에 쌓여 있다가 마치 알을 깨고 나오듯 윗부분의 외피막이 벗겨지며 갓과 대가 나오게된다. 어릴때는 아래 사진과 같은 모양이지만, 성장하면서 갓이 펴지며 평평해진다. - 발생시기 및 양상 :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합림 내 땅 위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서 발생하는 외생균근성 버섯이다. - 이용 가능성 여부 : 식용버섯이다. - 참고 : 고대 로마시대 네로 황제에게 달걀버섯을 진상하면 그 무게를 달아 같은 양의 황금을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 2014년8월 도계 육백산에서 촬영 (Nikon D80) 어린 달걀버섯 (갓의 지름 5~20cm) 성장한 달걀버..
산행(152) 2014년5월19일 문학산,청량산,봉제산 - 산행코스 : 인천터미널역→문학경기장→문학산→청량산→봉재산→풍림어린이공원→동막역 - 산행거리 : 약 13km 토,일 연속으로 다녀온 산행으로 아침에 일어나는게 힘들었다. 주말 산행이 힘들었던건 아니지만, 요즘들어 부쩍 체력이 약해짐을 느낀다. 오히려 적당한 운동이 이럴때 몸을 풀어주기에 좋다는걸 나 스스로 알기에... 간단히 가방을 챙겨 약속 장소로 향해본다. 인천터미널역과 연결된 중앙공원. 씀바귀. 불두화. 꽃이 핀 모습과 피지 않은 모습이 대조적이다. 붉은 불두화가 봄햇살아래 더욱 화려하다. 매발톱꽃. 팬지꽃. 인공암벽장. 문학경기장. 산딸나무꽃. 오랜만에 보는듯 하다. 비온뒤 빗방울 가득 머금은 마니산 입구에서 본 아름다웠던 모습이 떠오른다...
산행(99). 2013년7월29일 계양산, 천마산 - 위치 : 인천 계양구에 있는 산. - 산행코스 : 연무정→계양산(395m)→피고개→중구봉(275m)→교대 아침8시 조금 안된 시간에 집을 나서는데 안개가 자욱하다. 물비린내가 콧등을 심하게 자극시키며, 눅눅함이 그리 상쾌하지 않은 아침 공기를 선사한다. 산에 가려고 나왔으니 길을 나서지만, 습도 때문에 땀범벅이 될듯하다. 간간히 몇방울의 빗방울도 떨어진다. 산 입구에서부터 만나게 되는 모든 것들이 촉촉히 젖은 아침. 저녁이 피고, 아침에 지는 달맞이꽃. 오늘 아침의 촉촉함이 좋은지 달맞이꽃들이 모두 예쁘게 피어있다. 오늘의 날씨엔 계양산성의 모습도 운치를 더한다. 이곳에선 인천 시내의 모습을 시원하게 볼 수 있는 곳인데, 아무것도 보이질 않는다. 조망..
산행(98). 2013년7월26일 거마산, 성주산, 소래산 - 위치 : 인천 남동구에 있는 산. - 산행코스 : 만의골 800년된 은행나무→거마산→성주산→소래산→인천대공원 오늘 산행은 관모산을 시작으로 할 계획이었지만, 늦잠으로 인해 일행을 만나기 위해 만의골로 향했다. 관모산 산행을 마치고 내려온 일행을 만난 800년된 은행나무 앞. 800년의 역사를 지닌 이 은행나무는 얼마나 많은 비밀을 담고 있을까? 누가 못생긴 얼굴을 호박꽃에 비유했을까? 이리도 아름다운데.... 은행나무 옆길로 거마산 산행 시작~ 거마산 정산부근 그늘에서 점심식사. 산에서 물냉면이라니... 그 정성에 감동을~~ 가방에서 하나둘씩 꺼내놓은 차림이 진수성찬이다. 아침에 늦어 준비도 제대로 못해갔는데, 중간 휴식시간엔 과자와 초코렛이..
산행(95). 2013년6월4일 마니산(摩尼山) - 위치 :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華道面)에 있는 산. - 산행코스 : 함허동천 매표소→정수사 갈림길→마니산(472m)→참성단→마니산 국민관광지 매표소 마니산은 강화도 서남단에 있으며, 강화군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한반도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어 산의 정상에서부터 남쪽 한라산까지와 북쪽 백두산까지의 거리가 같다. 우리 나라 중부 지방을 북동에서 남서로 달리는 마식령산맥은 서남단인 강화도에 이르러 북쪽에서부터 고려산·혈구산·진강산 등의 산이 차례로 있고, 그 남쪽 끝에 마니산이 있다. 마니산의 이름은 마리산·머리산이라고도 불리는데, 마리란 고어로 머리를 뜻하니 강화 사람들이 마리산으로 부르는 이 산은 강화도에서 가장 높은 땅의 머리를 뜻한다. 이번주 금요일..
산행(37). 2012년10월1일 북한산 백운대와 7성문 (100대명산) - 위치 : 서울시 북부와 경기도 고양시의 경계에 있는 서울의 진산 - 산행코스 : 아카데미탐방지원센터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白雲臺, 836.5m) → 북문 → 원효봉 → 시구문 → 산성매표소 - 산행거리 : 20km - 산행시간 : 8시간 북한산은 백두산, 지리산, 금강산, 묘향산과 함께 대한민국 오악(五嶽)에 포함되는 명산이다. 20년만에 찾은 북한산의 이번 코스는 14성문 종주로 계획했다. 추석연휴로 부모님집에 와있었기에 강북에서 시작하는 코스로 정하기로했다. 출발점으로 정한건 아카데미탐방지원센터. 수유역2번 출구에서 마을버스 1번을 타고 종점에서 내리면 아카데미탐방지원센터이다. 추석 다음날 북한..
산행(33). 2012년9월20일 북한산 원효봉 (100대명산) - 위치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 산행코스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북문 → 원효봉(505m)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산행시간 : 3시간 원효봉의 명칭은 봉우리 아래에 있는 원효암에서 유래한 것으로, 원효암은 신라시대 원효(元曉) 대사가 수도하였던 토굴이다. 원효봉능선은 북문을 지나 염초봉으로 이어져 백운대로 향한다. 오늘 우리는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에서 북문을 지나 원효봉까지 원점회귀로 다녀왔다. 언젠가 북한산 둘레길을 검색하며 일정을 짜본적이 있어서인지 둘레길 이정표가 반갑다. 출발전 커피한잔의 여유를 즐기며 채송화의 탐스러움도 즐겨본다. 백운대 방향으로 올라가다가 갈림길에서 원효봉으로 향할 예정이다. 얼마전 태풍 산바가 ..
산행(31). 2012년9월15일 관악산(629m) (100대 명산) - 산행코스 : 과천향교 → 연주암 → 연주대정상(629m) → 자운암능선 → 서울대 - 산행시간 : 4시간 2주만에 산행길에 올랐다. 무릎에 무리가 많이 오는 하행길이 좀 걱정이 되었지만, 무릎에 약을 충분히 펴바르고, 약도 챙겨먹고, 조심스레 산행을 시작했다. 관악산은 늘 조촐하던 다니던 곳이었지만, 오늘은 산악회 모임으로 함께했다. 과천향교길로 아침8시 산행 시작. 관악산에 모처럼 물이 많았다. 계곡물을 통해 바라보는 나무와 하늘의 모습이 아름다운 날이었다. 오늘의 하행길은 서울대쪽. 관악산에서 보게된 버섯들이 유난히도 사랑스러웠던 산행길이었다.
산행(30). 2012년9월1일 유명산(862m) (100대 명산) - 소 재 지 : 경기 가평군 설악면, 양평군 옥천면 - 산행코스 : 유명산휴양림매표소 → 옹달샘 → 정상(862m) → 합수 → 마당소 → 유명산휴양림매표소 - 산행시간 : 6시간 (산행시간 6km) 유명산의 예전 이름은 '말을 방목했다'는 뜻에서 마유산(馬遊山)이었으나 지형도 상에 그 이름이 기재되지 않아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1973년 엠포르산악회가 국토 자오선 종주 등산 중 일행인 '진유명'의 이름을 따 유명산(有明山)이라 부르게 되었고, 산악 잡지에 기재된 이후 유명산으로 알려졌다고 한다. 산 정상 부근에 나란히 자리한 세 개의 바위는 삼형제바위라 불린다. 유명산에서 이어지는 계곡은 기암절벽과 작은 폭포가 여러 곳에서 나타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