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umpkin Time

강화나들길 - 제1코스 심도역사문화길과 바닷가 돈대길 본문

〓여행을 말하다/인천여행

강화나들길 - 제1코스 심도역사문화길과 바닷가 돈대길

김단영 2012. 9. 11. 18:22
728x90
SMALL

계획만 무성했던 강화나들길.

아직 무릎의 통증이 있기에 가능한 평지 위주의 코스로 다니기 위해 코스를 정했다.

 

강화나들길 첫 번째 시작을 위해 강화역사관을 찾았지만 이곳은 구강화역사관으로 바뀌어있었고, 모이 단종교의 모임 장소가 되어있었다.

'강화 개국의 성역' 이라 쓰인 이 비석이 거대함이 관리되지 않은 초라함으로 바뀌어있었지만,

이곳을 기점으로 강화나들길 트래킹을 시작했다.

 

강화나들길 첫번째 코스 : 갑곶돈대

조선시대의 국방유적지로 1679년(숙종 5) 축조하여 8문의 대포를 설치하였다.

한강의 길목 강화해협을 지키던 중요한 요새로 1231년(고려 고종 18) 이후 수차에 걸쳐 고려를 침공한 몽골군이 건너지 못하고 발만 구르다 되돌아간 곳이다.

당시 몽골군이 “우리 군사들의 갑옷만 벗어 메워도 물길을 건널 수 있을 텐데…” 하며 안타까워했다 하여 그 이름을 갑옷 갑(甲), 꿸 곶(串) 자를 넣어지었다고 전한다.

병인양요 때에는 프랑스군이 이곳으로 상륙하여 강화성을 점령하였으며, 1876년에는 일본의 전권대신 구로다 기요타카[黑田淸隆]가 이곳으로 상륙하여

강화 연무당(鍊武堂)에서 신헌(申櫶)과 강화도조약을 체결하였다.

1970년 훼손된 것을 복원하였으며, 돈대 내에는 고려 때 몽골과 외교교섭을 벌였던 이섭정(利涉亭)이 있고 조선시대의 대포가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입장권 구입 시 입구에서 보게 된 <5개소 일괄 관람권>

이월상품 구입하는 것 같은 기분이었지만, 40%라는 할인율의 덕을 보기로 했다.

 

아스팔트 바닥에 쓰인 강화나들길 표식.

 

가을 햇살에 늦게까지 만개해있는 배롱나무꽃.

 

 

 

 

 

 

 

바닷가 돈대길.

오늘 다니게 될 코스이기도 하다.

 

강화나들길 코스마다 완주 도장을 볼 수 있다.

도보여권을 소지하고 강화나들길 코스를 완주하면 도보여행 추억을 간직할 도보여행인증서를 받게 된다.

도보여권은 강화나들길 각 코스 출발점과 종착점에서 받을 수 있다.

 

강화나들길 두 번째 코스 : 성공회 강화성당(聖公會江華聖堂)

강화읍(江華邑) 관청길에 있는 한국 최초의 성당으로 조선시대의 개화기 건축물이다.

1981년 7월 16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1월 4일 사적 제424호로 변경되었다.

보호 면적은 6,452㎡이며, 성공회 유지재단 등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성 베드로와 바울로 성당’이라고도 한다.

1896년(고종 33) 강화에서 처음으로 한국인이 세례를 받은 것을 계기로 1900년 11월 15일 이곳 강화에 한국 최초의 성당을 세우게 되었다.

건립자는 한국 성공회 초대 주교인 존 코르페(C. John Corfe:한국명 고요한)이다.

정면 4칸, 측면 10칸 규모의 2층 건물로, 목골조를 사용하고 벽돌을 쌓아 올린 기와집이며, 2층은 바닥이 없는 통층구조이다. 로마의 바실리카 양식을 본떠 지은 것으로,

외형상으로는 불교 사찰 분위기를 풍긴다.

한국에 서양 건축이 도입되던 시기의 초기 건축으로, 한국 그리스도교 역사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서양식 장식이 거의 없는 순수한 한식 목조건물이면서 지붕과 내부구조는 한국적 건축양식을 많이 가미하였기 때문에 그리스도교의 한국 토착화를 뚜렷하게

상징하는 듯하다.

1910년대까지 강화 지역 선교의 중심이 되었으며 성공회 신학교인 성미가엘 신학교가 이곳에 설립된 이후 성공회 한국 선교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한국인으로서는 첫 성공회 사제가 된 김희준 신부를 배출하였다.
 

 

 

 

 

 

호박꽃에 앉은 나비가 사랑스럽다. 

 

2~3일 후면 이 국화도 모두 만개하지 않을까? 

 

 

 

 

 

 

강화나들길 세 번째 코스 : 용흥궁(龍興宮)

성공회 강화성당 맞은편에 있는 용흥궁은 조선 후기 철종(1831∼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 19세까지 살던 집이다.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7~8월에 개화하여 9~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이제 정말 가을의 중턱에 와있는 것 같다. 

 

 

강화나들길은 가는 곳마다 이정표와 안내표식이 잘 되어있어 여정을 편안하게 도와주었다. 

 

강화성당과 용흥궁 사이 길로 내려오면 강화도령 첫사랑길이다.

아스팔트 위의 포토죤 표시가 재미있다.

 

 

 

강화나들길 네 번째 코스 : 강화 고려궁지(江華高麗宮址)

고려가 몽고군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도읍을 송도(松都)에서 강화로 옮긴 1232년(고종 19)부터 다시 환도한 1270년(원종 11)까지 38년간 사용되던 고려 궁궐터이다.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최우(崔瑀)는 이령군(二領軍)을 동원하여 이곳에 궁궐을 지었다.

비록 규모는 작았으나 송도 궁궐과 비슷하게 만들고 궁궐의 뒷산 이름도 송악(松岳)이라 하였다 한다.

강화도에는 정궁(正宮) 이외에도 행궁(行宮)·이궁(離宮)·가궐(假闕) 등 많은 궁궐이 있었는데, 이곳 강화읍 관청리 부근은 정궁이 있었던 터로 추정된다.

정문의 이름은 승평문(昇平門)이었고, 양측에 삼층루의 문이 두 개가 있었으며 동쪽에 광화문(廣化門)이 있었다.

이 궁은 1270년 송도로 환도할 때에 모두 허물어졌다. 조선시대에도 국난 시 강화도를 피난지로 정하여 1631년(인조 9) 고려 옛 궁터에 행궁을 건립하였다.

전각과 강화유수부·규장외각 등을 세웠으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의하여 거의 소실되고, 현재 관아건물인 명위헌(明威軒)·이방청(吏房廳) 등이 남아 있다.

 

 

 

 

 

 

 

 

 

 

강화나들길 다섯 번째 코스 : 강화 북문과 북장대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에 있는 강화산성 내성의 4대문 중 북쪽에 있는 문이다.

북문은 고려 고종 19년(1232년)에 강화로 천도한 뒤 대몽항쟁을 위하여 흙으로 쌓은 강화산성 내성에 연결되었던 문이다.

조선 숙종 3년(1677)에 강화유수 허질이 전면을 돌로 쌓고, 후면은 흙으로 개축 확장하기 시작하여 숙종 37년(1711년)에 강화유수 민진원이 34년 만에 강화산성을

완성하였는데 당시 북문에는 누각이 없었으나, 정조 7년(1783년)에 강화유수 김노진이 누각을 세우고 진송루라고 하였다.

그 뒤 북문 누각은 헐려서 석축만 남아있던 것을 1976년 강화 중요 국방유적 복원 정화사업으로 현재와 같이 복원하였다.

북문 누각 안쪽에는 진송루 라고 쓴 현판이 걸려있다. 현판의 글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 것으로 보아 1976년에 새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고개에 세워진 문으로 문 앞이 옴폭 들어간 형태이기 때문에 북쪽에서 침입하는 적을 공격하기게 알맞게 되어있다. 북문 양쪽으로 성벽이 남아있다.

 

 

 

 

안에서 바라본 북문

 

북장대 오르는 길

 

 

 

 

 

 

 

 

 

 

꽤 한참을 걸은 성곽길.

이곳에 쓰여있는 문구로 오늘 도보길을 마무리해본다면...

"나들길에서 만난 강화도 바람 끝엔 날 반기는 술 한잔 허락되겠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Comments